그페미 두 번째 모임


일시: 2018년 6월 16일 토

장소: 하이델베르크

참석: 수언, 진, 수진, 은애, 수빈, 나희, 어진


1) 콘텐츠 제작 및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 계획

- 웹툽 형식 (그림 작가: 섭외중 – 16살 베를린 거주, 이연주) 

- 언어: 3개 국어로 (한국어, 독일어 - 수빈, 영어 – 세연)

- 포스팅 빈도: 웹툰 2달 1번, 텍스트 1달에 2번

- 내용: 한국 여성으로써 일상에서 겪는 성차별, 성희롱 사례 등을 통한 문제제기 

- 등장인물: 독일생활 3년차 & 독일인 남자친구가 있는 여성의 과거 회 (주변 퀴어 인물) 

  • 추후 모든 컨텐츠를 만화책 등으로 엮어낼 계획 


2) 구체적인 콘텐츠 논의 

- 사례: 새로운 사례를 창작해내는 것보다는 기존 사례들 활용 

- 사례 아카이빙

  • 독유네 등에 올라온 사례 등을 아카이빙 (이야기를 각색하는 2차 작업 시에는 우리만의 창작물로 만든는 것에 대한 동의를 얻어야 함) 
  • “본 웹툰, 메시지에 나오는 등장인물과 사례는 사실과 관계가 있습니다”라는 표시
  • 사례는 20개 정도로 받아놓고 시간 순서를 정해서 올리기


3) 아이디어 회의

- 순서 제안: 페북 페이지 생성 > 타임라인 결정 (언제 어떤 글을 포스팅할지)

  • 소개: ‘그페미(녹색당 유럽당원 페미니즘 모임)’에서 기획한 활동으로, 독일에서 살면서 동양인 여성으로 일상에서 겪는 차별상황들을 글과 웹툰으로 그려 연재합니다.  
  • 프롤로그: 소개글과 함께? 
  • 프로필 사진: 캐릭터 캐리커쳐처럼 만들기 

- 하나의 캐릭터에 다양한 맥락 속 각각의 사례를 입히는 방법이 쉽지 않음 

사례는 웹툰 캐릭터와 스토리에 관계없이. 연결성 있게 캐릭터의 핵심적인 부분이 부각이 되면 좋을 것 같음

- 웹툰: 옴니버스 형, 포스팅 당 4-9컷, 텍스트보다 조금 더 긴 사례들  

- 텍스트: 단문으로 처리 가능한 사례들

- 웹툰과 텍스트 형식을 빌린 이 활동의 목적: 현상이 일어나고 있고 우리가 불편하다는 것을 1차적으로 표현하는게 웹툰과 메시지의 목적

- 문제의식을 가질 수 있는 문제를 텍스트로 ex. 독일 민족성이 강한 독일어 선생님. 독일인은 성범죄를 하지 않는다. 성범죄 가해자는 대부분 다른 나라 사람들임. 

- 이 주제에 낯선 사람들에게 좀더 친절하게 보이는게 중요할 것 같음. 

- 사례 받은 것을 구글 문서에 모집하는 것. 

- 우리의 사례를 구글 문서에 우리가 먼저 기록하기

- 그 사례를 중에서 텍스트로 할지, 웹툰으로 할지 추후로 결정하기


4) 실제 기획 

- 사례 모으기: 20개 모으기 (웹툰과 텍스트 용으로)

- 웹툰 분량: 4-9컷 / 그림 작가: 신나희  

- 텍스트: 사진+텍스트

- 페이지 이름 정하기: Überlebensgeschichte von Frau Kim // @knoblauchkim

- 관리자: Frau Ryoo

- 오프닝 웹툰: 우리 모임의 소개, 캐릭터 소개

- 웹툰 첫화 (가능한 사례들) 

  • 공항에서 첫 니하오 사례/두 가지 니하오 사례(경멸적으로, 친근함의 표현)
  • 눈을 손으로 찟으며 칭챙총 사례
  • 동양 여성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 사례들 (독일 남자 만나려고 독일에 왔냐 등등)

- 1년 정도 후 독일 매체에 연재하는 것 목표로 


5) 역할 분담

- 모아진 사례 분리 (웹툰? 텍스트?) -> 언제하는 것이 좋을까? 

- 사례를 웹툰 텍스트의 컨텐츠 정리 / 마감 천사 (수진)

- 웹툰 팀: 콘티작업 두 명, 그림그리기 (진, 어진, 나희)

- 텍스트 팀: 텍스트 선별, 텍스트 다듬기, 사진 촬영 후 카드 뉴스 한 장, 글 올리기 (수언, 은애)

- 번역 팀: 수빈 

- 페이스북 페이지 관리 : 진

- 유보 : 하리타, 현화


6) 구체적인 일정

- 6월 30일까지 사례 모집: 최소 스무 개의 사례

- 7월 초 : 온라인 회의, 날짜와 시간 두들로 정하기 

  • 목표 : 어떤 텍스트를 어떻게 올릴 것인지, 누가? 정하기, 
  • 준비할 것: 각자 세 가지의 컨텐츠를 선택해오기, 
  • 두들 폼 만들기 (수진)

- 7월 내 : 텍스트 두 개 올리기 

- 7월 20일 금요일 : 베를린 웹툰팀 만나기  

- 7월 말? 8월 초? : 웹툰팀의 1차 콘티

- 8월 말 : 웹툰 공개


7) 향후 일정 

- 9월 7(금) 8(토) 오프라인 모임 / 장소는 두들로 다시 이야기

  • 금 : 관광, 각자 책(혐오 사회)를 읽고 이야기 또는 영화 보고 같이 이야기하기
  • 토 : 공식적인 회의

- 10월 총

- 그 전까지 진행사항 체크 ; 일주일 중 요일을 정해서 한 주 동안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각자 올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 녹색평론독서 모임 2018년 2월 모임 공지 이동환 2018.01.06 1209
102 2018년 1월 녹색평론 독자모임 안내(1/20 토 오후 12시) 손어진 2017.12.22 779
101 11월 녹평모임 후기 (송혜성 당원) 송혜성 2017.12.08 723
100 기본소득 공부 모임, 12월 9일 18시 치케모 2017.12.08 803
99 녹색평론 독자모임 프랑크푸르트 – 촛불, 그 후 일년을 묻다 가아닌양 2017.11.20 864
98 위안부 컨퍼런스 "Sexual Violence in Military Conflicts – Then and Now" (2.12.2017) file 베를린 2017.11.14 819
97 2017년 10월 총회에서 열린 기본소득 모임 후기 file 손어진 2017.11.11 757
96 광주 5.18 사진전 및 영화상영/토론회 안내 (9.11-4.12.2017) file 베를린 2017.11.11 7254
95 핵무기, 핵발전소 반대 데모 "Stoppt die Eskalation! Atomwaffen ächten!" (18.11.2017) 베를린 2017.11.10 4232
94 여성 이주자 컨퍼런스 «Als ich nach Deutschland kam» International Women Space Konferenz (28-29.10.2017) 베를린 2017.11.01 3178
93 11월 녹색평론 독자모임 안내 (11/18 토 13시) [1] file 손어진 2017.10.23 752
92 신고리 핵발전소 5•6기 공사재개 항의 인증샷 캠페인 손어진 2017.10.21 758
91 위안부 영화의 달-2017년 11월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손어진 2017.10.17 1669
90 9월 녹평모임 후기 file 손어진 2017.10.05 739
89 2017년 10월 기본소득 파헤치기 모임 (10/14 토요일 저녁 7시 Bairawies) file 손어진 2017.10.04 997
88 9월 녹색평론 독자모임 안내 (9/15 금 저녁 6시) 손어진 2017.08.29 757
87 네 번째 기본소득 공부 모임 (8월 12일) 후기 치케모 2017.08.17 732
86 2017년 6월 기본소득 모임 후기 손어진 2017.08.11 731
85 2017년 8월, 네 번째 기본소득 공부 모임 (8/12 토요일 12시 라이프치히) 치케모 2017.08.01 732
84 7월 녹평모임 후기 (송혜성 당원) file 손어진 2017.07.29 7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