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 - 이제는 가능할지도 모르는 지금을 위한 대안 (2)


지금 이 시대를 사는 한 사람으로서 대한민국을 큰 그림으로 볼 때 대한민국은 아마 이제 국가라는 거대한 공동체 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지 않으냐고 의문을 가지고 말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을 것 같다. 심지어 그 국가 공동체 마저 흔들리고 있는 게 사실이다. 지역 공동체, 마을 공동체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다양한 성격을 가지고 무너진 공동체를 다시 일으켜 세우려는 움직임이 여기저기서 생기고 있다는 것은 그래도 그곳에서, 일상에서 작은 변화의 불씨를 볼 수 있는 지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호는 지난 호에서 소개한 책, Die Welt der Commons - Muster gemeinsamen Handels (공동체의 세계 - 함께 해 나가는 행동의 본보기)1Begründen (기초를 세우다) 에서 다루는 이론적인 내용의 요약과 함께 글 마무리에서는 그것에 대한 필자의 짧은 코멘트로 채워질 것이다.


이 저서의 공동 편집자 헬무트 라이트너 (Helmut Leitner)1장에서 이미 존재하는 공동체에 대한 다양한 본보 기의 패턴들을 토대로 새로운 공동체를 만드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공동체에 관심을 두고 있는 모든 사람들 이 어떤 한 방향성을 잡는 방법으로 이 다양한 본보기의 각각의 패턴을 잘 숙지하라고 말한다. 새로운 공동체를 조 직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 다양한 본보기를 이용하는 것은 참여자들 사이에 서로의 생각을 복합적인 관련 속에서 더 쉽게 소통할 수 있게 하고 이론적인 연구 활동과 실제적인 적용의 매끄러운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각양각색의 본보기를 개별적으로 읽을 수도, 이해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본보기 각각은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 때 다양한 과정의 형성과 습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우리가 공구 상자에서 각각의 필요한 공구를 꺼내는 것처럼 우리는 바로 우리에게 중요한 몇 개의 본보기를 뽑아낼 수 있다.“ 그것을 통해 어떤 고유한 습득 방법을 선택한다. 요리책 이나 사전을 이용하는 것처럼. 다양한 영역에서 본보기에 관한 책이 많이 출판된 상황에서 먼저 본보기는 읽기 자 료를 모아놓은 텍스트 형태로 존재하고 그 방대한 자료는 실제적인 공동체 조직 과정에서, 또는 그 속에서 발생하 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으로 준비될 수 있다. 물론 그 조합의 결과물이 책 같은 출판물 형태로만 존재할 필요는 없다. 조금 더 가벼운 소책자, 인터넷 사이트 또는 워크숍이나 세미나를 통해 만들어진 내용을 정리 한 기록 카드 형태로도 다양한 본보기를 알아가는 것은 가능하다. 새로운 공동체를 조직하는 방식으로 라이트너는 어떤 한 건축가가 제시한 원형 모델도 소개한다. 그것은 각각의 본보기 형성 과정에 토대가 되는 이상적이면서 대 표적이며 창의적인 과정 모델이다. 이 모델은 여섯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1.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 2.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한 실마리 탐색 3. 관련된 본보기 패턴들에서 본보기 하나를 선택 4. 그 본보기를 발생하는 문 제의 상황에 적응 5. 새롭게 발생하는 시스템 상황 종합적인 결과 테스트 (성공 혹은 실패) 6. 그 테스트 결과에 대 한 변화를 수용할 것인지 무효로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 그다음 이 순환을 다시 처음부터 시작. 이 여섯 단계의 창 의적인 모델은 많은 성과를 위해서 도덕적인 원칙이 수반되어야 한다. 첫 번째 원칙은 성공적인 조직에는 각각의 시스템과 그 가능성의 전체적인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인데 이것은 사람들이 현장에서 상황에 관한 특수성에 관여 하고 그 관련자들과 그들의 욕구가 포함될 때 성공할 수 있다. 즉 관련자는 될 수 있는 대로 스스로 함께 조직하는 사람으로 참여해야 한다. 두 번째 원칙은 다섯 번째 단계에서 테스트 후 얻어진 시스템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평가 는 그 시스템의 생명력에 중점을 두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생명력이라는 가치는 시스템 개선의 탐색에, 본보 기의 선택과 수용 그리고 모든 변형과 관련된 마지막 결정에 토대가 된다. 세 번째 원칙은 이러한 조직 이론으로부 터 분명해지는 것은 인간과 인간의 삶이라는 것은 최대한의 이익과 효율성에 대한 고려보다 우선시 된다는 것이 다. 즉 공동체 조직은 어떠한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닌 인간을 위한 것이다.


라이트너와 함께 공동 편집자인 질케 헬프리히(Silke Helfrich)는 이 책의 부제목과 같은 제목으로 1장에 또 하나 의 글을 실었다. 이 글은 다시 어떻게 우리는 공동체 조직에 대해 논의할 것인가라는 부제목을 갖고 있다. 그녀 역 시 본보기에 대해 강조한다. 즉 본보기는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인상을 남기고 공동체를 조 직하는 데 있어서 큰 영향을 준다. 다양한 종류의 본보기에서 형성된 각각의 언어를 가진 본보기들의 그룹은 포괄 적으로 알고 있는 것을 풍부하게 끌어 올려서 결국 공동체 조직에 있어 특별한 본보기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 그녀는 1장을 마무리 짓는 글에서 공동체는 생각하는 것으로만 존재하지 않고 그것은 우리의 행동 안에서 싹튼다 고 말한다. 공동체라는 의미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것은 다양한 조건들을 요구하며 참여자에게는 최소한 세 가지 를 요구한다: 먼저 공동체로부터 존재하는 요소, 상황 그리고 개념은 한 사람에게만 속하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한 공동체에 참가하는 모든 사람 사이의 관계는 계급 조직적으로 생각되면 안 된다는 이해가 필요하다. 즉 다양성 안에서 관계들이 존재한다. 결국, 이러한 기본적인 이해는 공동체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왜냐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공동체가 만들어 내는 이야기, 습관 그리고 지식과 자원에 대한 유효성 안에서 점점 구체적인 상황이 다 뤄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공동체 조직 과정이 성공할지 아닐지는 원칙적으로 열려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 다. 이것은 다시금 어떠한 요구로 연결된다. 즉 개개인의 행동은 항상 다시 새롭게 생각돼야 하고 균형 잡혀야 한 다. 서로의 의사소통은 개인의 존재 확인과 함께 흔히 일어나는 일이다. 이러한 기초 공사에 기반을 둔 실천으로부 터 다른 당연한 결과들이 나타날 수 있다. 그것을 세상에 내놓는 것은 심사숙고 해야 할 과제일 뿐만 아니라 공동 체 조직을 통해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행동이 된다. 거기에서 여러 가지 유용한 것들이 만들어진다 - 먹기 위한, 입 기 위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치유를 위한, 도움을 위한, 기계를 조립하기 위한 그리고 자신에게 필요한 능력을 위한. 동시에 인간은 이러한 활동 안에서 공동체 조직자로서 스스로 자신을 경험한다. 만약 당신이 이러한 공동체 에 관한 활동을 한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에 분명할 뿐만 아니라 모범으로 여겨질 만한 대답을 줄 수 있다: 우리는 매일 아침 일어나 자본주의 체제가 계속 유지되도록 만들고 있다. 왜 우리는 한 번도 무엇인가 다른 것을 만들고 있지 않은가?


이 두 편집자는 책의 1장에서 결국 공동체 조직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가능한 다양한 본보기들을 많이 접하고 그 내용을 알고 공동체 조직에 여러 방면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지속해서 강조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간단하게 느 껴질 수도 있는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내가 공동체 조직에 관심이 있다면 우선 이런저런 공동체들을 찾아보 고 알아가는 것. 더 나아가 성격이 어느 정도 일맥상통하는 공동체들을 그룹으로 묶어 정리해 놓는 방식은 광범위 한 공동체들을 조망하는데 꽤 효과적일 것이다. 그 지점에서 이 공동체라는 것, 즉 공동체를 조직할 때 가장 중요 하게 항상 잊지 않고 매 순간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이 모든 것은 우리 인간의 삶을 위해서라는 점이 인상적이다. 추상적으로만 느껴질지도 모르는 이 이론적인 내용이 얼마만큼 개개인에게 설득력 있게 다가갈지는 모르겠지만 결국 지금 작동하고 있는 사회의 틀에 대한, 예를 들면 이대로 괜찮은가?’ 식의 의문이 개개인에게 다가오는 정도 가 다른 가능성을 고민할 수 있게 하는 최소한의 기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 이제 본격적으로(?) 다음 호에서 그 다양한 공동체들을 한번 기웃거려보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 [한국 판매] 베를린 장벽 붕괴 30년 특별 잡지 “장벽 너머(Beyond the Wall)" file 똑녹유 2020.02.25 972
40 똑똑똑, 녹유 제14호 장벽 너머 Beyond the Wall 판매! (90부 한정) file 똑녹유 2020.01.23 554
39 비아 (오현화 당원 자녀) file 똑녹유 2019.11.26 1036
38 김종규 당원 똑녹유 2019.11.26 851
37 똑똑똑, 녹유 제13호 file 치케모 2019.09.06 208
36 똑똑똑, 녹유 제12호 file 가아닌양 2019.06.07 255
35 "똑똑똑, 녹유" 편집팀원을 모집합니다. file 똑녹유 2019.03.11 410
34 최승은 당원 file 똑녹유 2019.03.07 226
33 똑똑똑, 녹유 제11호 file 가아닌양 2019.03.07 5477
32 레쎄남 당원 file 똑녹유 2018.12.07 231
31 똑똑똑, 녹유 제10호 똑녹유 2018.12.07 4806
30 책소개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듀나, 배명훈, 김보영, 장강명/ 한겨레출판 2017) 똑녹유 2018.08.07 394
29 진실애 당원 file 똑녹유 2018.08.07 223
28 똑똑똑, 녹유 제9호 file 가아닌양 2018.08.06 2863
27 책소개 "바깥은 여름" (김애란, 문학동네) 똑녹유 2018.05.07 1202
26 후기 "오늘부터 내 몸의 이야기를 듣기로 했어" (진실애) 똑녹유 2018.05.07 356
25 똑똑똑, 녹유 제8호 (2018년 5월) file 똑녹유 2018.05.06 571
24 똑똑똑, 녹유 제8호 "미투" 주제 글 모집 (~4/15) file 똑녹유 2018.04.06 393
23 Als ich nach Deutschland kam_여성 이주자 컨퍼런스 리뷰 (송혜성) file 똑녹유 2018.02.14 5057
» 제5호. 공동체 - 이제는 가능할지도 모르는 지금을 위한 대안 (2) 똑녹유 2018.02.14 161
XE Login